Just do IT
article thumbnail

연산의 결과 도출 자료 기억 방법

   - 조합논리 회로

   - 기억회로의 구성 작동 원리

   - 순차회로

 

조합논리 회로

조합회로는 입력과 출력을 가진 논리 게이트의 집합으로 출력은 현재의 입력(0, 1)값과 조합의 함수이며, 순차 논리회로는 게이트 뿐만 아니라 기억능력이 있는 플립플롭(Flip-Flop)으로 구성된다.

 

조합회로의 설계 절차

   1. 문제가 제시 된다

   2. 입력과 출력 변수에 문자 기호를 붙인다

   3. 입력과 출려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진리표를 유도한다

   4. 출력에 대한 간소화된 부울 함수를 얻는다

   5. 논리도를 작성한다

 

대표적 조합 회로

   가산기(Adder) : ( 이상) 입력을 받아 결과물을 출력하는 조합논리 회로

      - 가산기(Half Adder) - 기본 게이트 설명 다루었던 내용

      - 가산기 (Full Adder)

 

   멀티플렉서 (Multiplexer)

      다수의 입력 하나만을 선벽절(시그널 조작)으로 출력 가능하게 해주는 조합논리 회로

 

   디멀티플렉서 (Demultiplexer)

      하나의 입력 () 다수개의 출력선으로 분해하는 기능의 조합회로 (멀티플렉서 기능)

 

기억회로의 구성 작동 원리

   - 대부분의 디지털 시스템들이 조합회로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대부문의 경우 순차회로로 구현되는 저장요소를 필요로 한다. 우리는 이러한 종류의 회로를 플립플롭(Flip Flop)이라고 한다.

   - 플립플롭(Flip-Flop)종류와 작동 원리

 

순차회로

   - 순차 회로는 플립플롭(Flip Flop) 게이트를 서로 연결한 것이다. 게이트들로만 이루어진 회로는 조합회로이지만, 플립플롭이 포함될 순차 회로가 된다. 순차회로의 외부 출력은 외부 입력과 플립플롭의 현상태의 함수로 표시된다.

   - 가지 플립플롭(Flip-Flop) 대한 여기

 

순차회로의 상태표와 상태도

   순차회로의 특성은 입력, 출력 플립플럽의 상태로 부터 특정 지어진다. 출력과 다음 상태는 모두 입력과 상태의 함수이다. 사이의 관계를 상태표라 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 상태도이다.

 

출처 : 제로베이스

profile

Just do IT

@AmyG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