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do IT
article thumbnail
리눅스 (프로세스)
Programing/Linux 2022. 12. 30. 09:31

[프로세스] - process : 진행사항, 진행 중 -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CPU와 메모리에 용량을 할당받은 형태를 의미합니다. - 컴퓨터에서 현재 동작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 프로세스가 많이 동작하고 있는 환경은 컴퓨터의 과부화가 많이 발생하며 메모리 용량도 많이 줄어들게 됩니다. (프로세스가 많이 동작하고 있는 환경 :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 - 메모리 낭비는 컴퓨터의 성능저하를 불러오기 때문에 관리자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윈도우 프로세스] - 작업관리자를 통해 어떠한 프로세스가 실행중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작업관리자를 통해서 얼만큼의 용량이 사용중인지 확인 가능합니다. - 작업관리자를 통해서 강제로 진행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도..

article thumbnail
리눅스 HDD (마운트)
Programing/Linux 2022. 12. 29. 09:11

[마운트] - mount : 시작하다, 증가하다 - 파티션을 OS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 포맷이 끝난 파티션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일반 디렉토리와 마운트 시켜서 파티션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사용방법] - 마운트하기 : mount [디스크 장치의 파티션 명] [마운트 포인트] [root@localhost~]#mount /dev/sdb1 /mp - /mp 안에서 디렉토리를 생성한다면 /dev/sdb1 파티션에도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ex) 컴퓨터에 USB를 꽂는 행위를 마운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USB를 꽂는 순간 위 명령어가 실행이 되면서 USB의 파일들이 내컴퓨터 폴더에 마운트 된 것입니다. 내컴퓨터에 생성된 USB 폴더에서 파일을 생성하면 USB에도 파..

article thumbnail
리눅스 HDD (포맷)
Programing/Linux 2022. 12. 28. 09:50

[포맷 명령어] - 생성한 파티션을 포맷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리눅스에서 파티션을 생성 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포맷을 해주어야 합니다. - 포맷은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티션은 반드시 파일시스템이 지정되어 있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 직접 사용하는 주 파티션과 논리 파티션만 포맷이 가능합니다. (확장 파티션은 포맷을 하지 않습니다.) [사용방법] - 포맷하기 : mkfs.[파일시스템] [파티션경로] [root@localhost~]#mkfs.ext4 /dev/sdb1 - 파티션 파일 시스템 확인 : fsk -N [파티션경로] [root@localhost~]#fsck -N /dev/sdb1 파티션 포맷이 완료되었다면 반드시 마운트 작업을 해주어야 사용할 수..

article thumbnail
리눅스 시스템 (파일 시스템)
Programing/Linux 2022. 12. 27. 09:42

[파일 시스템] - 파일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 탐색을 위해 파일을 어디에 위치 시킬 것인지 나타내는 시스템 입니다. - 거의 모든 OS에서 지원되고 있습니다. -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은 Ext(Extended File Syste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주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의 종류 3가지 : EXT3, EXT4, XFS [파일 시스템의 종류] 파일 시스템 설명 EXT3 - 저널링 기능이 추가되어 데이터 복구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 저널에 수정 사항을 기록한 후에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합니다. - 데이터 기록 전에 오류가 발생해도 저널의 기록을 보고 복구할 수 있습니다. - 볼륨의 크기 : 2 ~ 32TB - 서브 디렉토리의 수 : 32000개 EXT4 - 온라인 디스크 조각모음 기능이 추가..

article thumbnail
리눅스 HDD (하드디스크, 파티션)
Programing/Linux 2022. 12. 26. 09:53

[하드디스크] - HDD : Hard Disk Drive - 컴퓨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컴퓨터의 OS(윈도우, 리눅스 등)도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 때문에 필수 공간입니다. - 윈도우에서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이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파티션] - partition : 공간 - 하드디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눠서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윈도우의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이 파티션에 해당됩니다.) - 파티션에서는 vi, touch등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1개 이상의 파티션이 있어야 합니다. - 하드디스크에는 3가지 종류의 파티션이 있습니다. > 주 파티션 / primary parti..

article thumbnail
리눅스 명령어 (rpm, yum) (2)
Programing/Linux 2022. 12. 25. 09:21

[yum 명령어] - rpm과 같은 설치 명령어 입니다. - 외부 사이트에서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받아서 설치를 합니다. - yum으로 설치를 진행하면 의존성 문제가 해결이 됩니다. > rpm으로 설치시 하나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를 전부 수동으로 설치해야합니다. yum은 그 과정을 생략해주고 알아서 필요한 패키지를 전부 설치해줍니다. - rpm보다 사용하기는 편리하지만 인터넷이 없으면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사용방법] - yum [옵션] install [설치할 패키지 명] [옵션] - install : yum으로 설치 시 필수적인 옵션 입니다. (옵션의 위치는 install 앞, 패키지 위치는 install 뒤) - y : 설치 시 설치 진행할 건지 물어볼 때 자동으로 yes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