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트]
- mount : 시작하다, 증가하다
- 파티션을 OS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 포맷이 끝난 파티션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일반 디렉토리와 마운트 시켜서
파티션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사용방법]
- 마운트하기 : mount [디스크 장치의 파티션 명] [마운트 포인트]
[root@localhost~]#mount /dev/sdb1 /mp
- /mp 안에서 디렉토리를 생성한다면 /dev/sdb1 파티션에도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ex) 컴퓨터에 USB를 꽂는 행위를 마운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USB를 꽂는 순간 위 명령어가 실행이 되면서 USB의 파일들이 내컴퓨터 폴더에 마운트 된 것입니다.
내컴퓨터에 생성된 USB 폴더에서 파일을 생성하면 USB에도 파일이 동일하게 존재하는 것 입니다.
- 마운트 해제 : umount [파티션명 or 마운트 포인트]
[root@localhost~]#umount /mp
[root@localhost~]#umount /dev/sdb1 /mp
- 마운트를 해제하면 마운트 포인트에서 생성했던 디렉토리는 접근이 불가능해집니다.
ex) USB를 뽑는 행위입니다. USB를 뽑으면 해당 폴더에서 생성한 폴더나 파일이 보이지 않는 것과 동일합니다.
[df -h 명령어]
- 현재 리눅스에 마운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f -Th를 입력하면 파일의 파일 시스템까지 전부 볼 수 있습니다.
- Filesystem : 마운트 하고 있는 장치명 (/dev/sdb1)
- size : 파티션의 전체 용량
- used : 파티션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량
- avail : 파티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량 (남은 용량)
- use% : 사용하고 있는 용량을 퍼센트로 표기
- Mounted on : 마운트 포인트
[ 마운트 주의사항 ]
1. 일반 마운트는 리눅스를 종료할 때 설정이 자동으로 초기화 됩니다.
2. 하나의 파티션으로 다수의 마운트 포인트를 사용하는 경우
- 순서대로 마운트하고 순서대로 마운트를 해제해야 합니다.
(과정이 복잡해질 수 있으니 마운트 포인트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3. 다수의 파티션이 하나의 마운트 포인트를 사용하는 경우
- 하나의 마운트 포인트에는 하나의 파티션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최근에 마운트하던 파티션만
해당 마운트 포인트를 사용합니다. 그 외에 나머지 파티션은 대기상태로 있게 됩니다.
4. ☆ 이미 사용하고 있는 디렉터리는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
-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 시 디렉토리에 이미 있던 내용들을 일시적으로 사라지게 되어서
리눅스에 중요한 내용이 있던 디렉토리라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가급적 마운트 포인트는 빈 디렉토리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 마운트를 사용한 계정 관리 ]
1. 리눅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계정은 모두 200GB HDD에 들어 있습니다.
2. 관리자 계정만 20GB HDD를 사용하고 나머지 계정은 10GB HDD로 이동시켜서
따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gram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부팅 (런 레벨) (0) | 2022.12.31 |
---|---|
리눅스 (프로세스) (2) | 2022.12.30 |
리눅스 HDD (포맷) (0) | 2022.12.28 |
리눅스 시스템 (파일 시스템) (0) | 2022.12.27 |
리눅스 HDD (하드디스크, 파티션) (2)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