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do IT
article thumbnail
Published 2021. 8. 1. 19:04
JavaScript (Selector) Programing/JavaScript

JavaScript - Selector

Selector 선택자

※ selector: 선택장치, 선택자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소를 제어할 것인지 선택을 하여 컴퓨터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컴퓨터에게 명령을 할 때는 자세히, 구체적으로 명령을 해주어야하기 때문에 어떤 요소인지

알려주는 방법이 바로 Selector(선택자)입니다.

 

선택자를 어떻게 사용할지 함께 연습해보겠습니다.

※ 저는 자바스크립트를 연습할 때 Brackets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했습니다.

※ 혹은 codepen.io를 사용하셔도 손 쉽게 HTML과 JavaScript를 실행시켜서 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codepen.io/pen/?template=WNjggVm (codepen.io를 사용하여 Selector를 작성한 것입니다.)

html 코드에서 자바스크립트는 <script></script>태그 안에 작성하셔야 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id="hello">안녕하세요</h1>
    
    <script>
        
        
        
    </script>
    
</body>
</html>

위와 같이 html을 작성하시고 실행을 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안녕하세요'란 문구를 '안녕'으로 바꿔달라고 컴퓨터에게 명령을 해보겠습니다.

document.getElementById('hello').innerHTML = '안녕';

위와 같이 작성해주시고 인터넷창을 새로고침 해주시면 문구가 바뀌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는 어떠한 명령일지 하나씩 뜯어보겠습니다.

document.getElementById('hello').innerHTML = '안녕';  => 색칠된 부분이 Selector(선택자) 입니다.

document : 문서, 웹문서 = html 파일을 의미합니다.

. : ~의, ~안에 있는

getElement

get : 가져와 + Element : 요소 (html 요소) = html의 요소를 가져와

ById : Id에 의해서~

getElementById('hello') : Id가 'hello'인 HTML 요소를 가져와 

innerHTML : HTML 내부 요소, 이 부분에는 다양한 명령어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innerHTML 자리에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는 간단하게는 style.fontSize, style.color 등등이

      있으며 더 많은 명령어는 구글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직접 

      알려드리는 것 보다 사용하실 때 필요한 기능에 맞는 명령어를 찾아서 사용하시는게 효율적입니다.)

=> "웹문서, html 안에 아이디가 'hello'인 요소를 가져와서 '안녕'으로 바꿔줘" 라는 명령어가 됩니다.

아이디 명은 본인이 정하신 아이디 명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innerHTML 부분에는 다양한 명령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실습하기~!!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id="hi">올때메로나</h1>
    
    <script>
       /*
       1. 올때메로나 -> 올때바밤바 변경해보기
       2. 폰트 색상을 바꿔보기 (원하는 색상으로)
       3. 폰트 크기 조절해보기 (30px로)
       */
    </script>
    
</body>
</html>
더보기

풀이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id="hi">올때메로나</h1>
    
    <script>

	/* 문구 변경 */
        document.getElementById('hi').innerHTML = '올때바밤바';
        
        /* 폰트 색상 변경 */
        document.getElementById('hi').style.color = 'blue';
        
        /* 폰트 크기 변경 */
        document.getElementById('hi').style.fontSize = '80px';

    </script>
    
</body>
</html>

왜 이렇게 길게 써야 하나요?

모든 명령어는 우리가 컴퓨터에게 하는 명령입니다.

컴퓨터는 간단하게 말하면 혼동이 오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명령을 해주어야 하며

그렇기 때문에 길게 쓰여질 수 밖에 없습니다.

 

문구 변경을 예로 들면

저거를 '안녕'으로 바꿔달라고 명령을 하면 컴퓨터는 저거가 뭔지 모르기 때문에 명령을 이행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아이디가 'hello'인 요소를 '안녕'으로 바꿔줘 라고 한다면 컴퓨터는 바로 명령을 이행하게 됩니다.

 

더보기

= : 대입, 오른쪽 값을 왼쪽에 넣어 주세요
'' : 모든 문자 표현, 문자자료형

 

Next > JavaScript (Alert)

'Programing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EventListener)  (0) 2021.08.06
JavaScript (Parameter)  (0) 2021.08.05
JavaScript (Function)  (0) 2021.08.04
JavaScript (Alert)  (0) 2021.08.02
Ajax Tutorial  (0) 2021.07.13
profile

Just do IT

@AmyG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