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ing/Linux

리눅스 HDD (하드디스크, 파티션)

AmyG 2022. 12. 26. 09:53

[하드디스크]

   - HDD : Hard Disk Drive

   - 컴퓨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컴퓨터의 OS(윈도우, 리눅스 등)도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 때문에 필수 공간입니다.

   - 윈도우에서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이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파티션]

   - partition : 공간

   - 하드디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눠서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윈도우의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이 파티션에 해당됩니다.)

   - 파티션에서는 vi, touch등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1개 이상의 파티션이 있어야 합니다.

   - 하드디스크에는 3가지 종류의 파티션이 있습니다.

      > 주 파티션 / primary partition

      > 확장 파티션 / extended partition

      > 논리 파티션 / logical partition

   - 윈도우에서의 파티션 확인하기 : win + r -> diskmgmt.msc 입력

   - 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단계 (각 단계 링크 클릭해서 확인)

      파티션 생성 > 파티션 포맷 > 파티션 마운트

파티션 종류 설명
주 파티션
(primary partition)
-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티션입니다.
- 특별한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간단하게 만들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일반 컴퓨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티션입니다.
- 최대 4개까지 생성할 수 있습니다.
확장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 파티션이 4개 이상으로 필요 할 경우 확장 파티션을 통해 추가적으로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가 아닌 논리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 1개의 파티션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논리 파티션
(logical partition)
- 주 파티션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 반드시 확장 파티션 안에서만 생성 가능합니다.
(확장 파티션이 없다면 생성 불가)
- 무조건 5번 파티션부터 생성이 된다.  

- 생성 개수에 제한이 없습니다.

 

하드디스크(HDD) 타입
IDE (병렬)  hd + 문자 -> hda, hdb, hdc, hdd, ...
SCSI (직렬) sd + 문자 -> sda, sdb, sdc, sdd, ...

 

파티션(partition) 타입
IDE type partition HDD + 숫자 -> hda1, hda2, hdb1 ...
SCSI type partition HDD + 숫자 -> sda1, sda2, sdb1 ...

 

[HDD의 명령어]

- HDD의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 : fdisk

사용 방법 설명
fdisk -l - 현재 리눅스에 연결된 모든 하드디스크와 파티션의 정보를 한번에 보여줍니다.
fsidk -l /dev/HDD명 - 원하는 하드디스크의 정보만 출력해줍니다.
fsidk /dev/파티션명 - 원하는 파티션의 정보만 출력해줍니다.
fsidk /dev/HDD명 - 하드디스크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 
- 파티션 생성 등을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여 할 수 있습니다.
ex) fdisk /dev/sdb > n(new) > p(partition) > 1 -+ 100MB(파티션 용량) > w(저장)
- 설정을 변경했을 경우 꼭 저장(w, write)를 해주어야 변경이 반영이 됩니다.
- 저장하지 않고 모드를 나오고 싶다면 CTRL + C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파티션을 생성했을 경우 반드시 포멧 과정을 해주어야 사용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리눅스 시스템 (파일 시스템)